10억 만들기 프로젝트/주식 공부

MDD 매매법 : 고점 대비 하락률

친절한꼬북c 2022. 12. 20. 20: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친절한꼬북c입니다.


22년 12월 19일 기준, 테슬라(TSLA)의 주가가 $146으로 마감하며 크게 하락했습니다.

기간은 테슬라의 상장일인 2010년 6월 ~ 2022년 12월 19일까지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테슬라가 상장한 이래로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DD는 -0.631으로 확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점 대비 -63.1% 빠졌다는 의미입니다.

한 편, 저는 앞으로 천천히 분할 매수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어제 149달러에 테슬라 1주를 매수 완료했습니다.


그럼 MDD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되는 것일까요?
오늘은 주식 매매의 보조지표 중 하나인 MD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DD (Max Draw Down) 란?

쉽게 말해, 최대 낙폭을 의미합니다.

일정기간 동안 최고점과 최저점을 비율로 계산한 값입니다.

MDD = ( 최고점 - 최저점 ) / 최저점


조금 더 쉽게 표현하면, 고점 대비 몇 %가 빠졌는지를 계산한 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MDD가 -50% 일 경우, 고점 대비 50%의 가격이 하락했다는 의미입니다.

※ MDD가 크다 = 고점대비 하락률이 크다 =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MDD가 작다 = 고점대비 하락률이 작다 = 변동성이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MDD의 대소 비교로 좋다/나쁘다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변동성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MDD를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투자에 접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DD 활용방법

현재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의 MDD를 살펴보고, 변동성이 평균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MDD가 낮은 종목을 위주로 추가 편입해서 하락장에서의 변동성을 낮추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상승장에서 많은 수익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하락장에서 얼마나 내 자산을 지킬 수 있느냐가 보다 더 중요한 관건일 것입니다.

버는 것보다도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동성 지표 중 하나인 MDD를 활용해서,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잡아주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상승장에서 급하게 추격매수를 하기보다는, MDD확인을 통해서 천천히 매수 기회를 잡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주식은 미친 듯이 오르다가도, 어느순간에는 미친듯이 하락을 지속합니다. 지금처럼 말이죠. 또는 지루하게 횡보를 하기도 합니다.

내가 매수하려는 종목의 MDD기록을 살펴보고 조정이 올 때, 조정의 정도를 확인하고 다음 기회를 기다렸다가 좋은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실제 주가 차트를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예시 1 : 테슬라 ]

앞서 예시로 보여드렸던 테슬라 차트입니다.

테슬라의 경우, 상장 이래로 평균적으로 20~30%의 MDD를 보여줍니다.
50% 부근에 도달한 경우는 5번 정도로 보입니다.

[ 예시 2 : SCHD ]

아래 그래프는 대표적인 배당성장 ETF인 SCHD의 주가 차트입니다. (2012 ~ 2022년)

예시 1의 테슬라와는 달리 MDD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작다는 의미입니다.

과거 10년 동안 최댓값이 30%에 불과합니다.
현재 테슬라는 63%인데, 두 배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안정적인 주식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MDD 계산방법

① 직접 계산하기 : 파이썬 활용

앞서 예시로 보여드린 차트는 파이썬(Python)을 활용하여 도출한 그래프입니다.
파이썬을 활용한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②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접속

아래의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로 접속 바랍니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이상으로 MDD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내용 참조하시어 모두의 성공투자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