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매매법 : 상대적 강도지수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친절한꼬북c입니다.

주식 매매에 참고할 만한 다양한 보조지표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보조지표를 활용한 매매법 중 이평선 매매와 함께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잡기 쉽고 확률 높은 매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 주제 : RSI 매매법 ]
Ⅰ. RSI 란 ?
Ⅱ. RSI 활용 매매 포인트
Ⅰ. RSI (Relative Strength Index) 란?
RSI는 다른 말로 '상대 강도지수'라고 이야기합니다.
주로 매수와 매도의 기준점으로 활용되며, 주가의 기술적인 분석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보조지표 중 하나입니다. RSI는 주가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보여줍니다.
쉽게 말하자면 RSI가 높을수록 상승추세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RSI가 낮을수록 하락 추세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는 RSI를 구하는 계산 공식입니다.
ⓐ RSI 계산 공식
1. U = 전날 주가보다 오늘 주가가 상승할 때의 주가 상승폭 (UP)
2. D = 전날 주가보다 오늘 주가가 하락할 때의 주가 하락폭 (DOWN)
3. AU = 일정기간(N일) 동안의 U의 평균값 (Average UPs)
4. AD = 일정기간(N일) 동안의 D의 평균값 (Average DOWNs)
5. RS = AU / AD
6. RSI = AU / (AU + AD)
= RS / (1 + RS)
7. RSI 시그널 = RSI의 이동평균선
공식에 따르면 RS는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 상승폭을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 하락폭으로 나눈 값입니다. RSI값은 0과 1 사이 즉 0%와 100% 사이에서 움직입니다. RSI를 개발한 윌 에스 와일더는 N(일정기간)을 14일로 사용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 RSI 공식을 꼭 알아둘 필요는 없습니다.
MTS나 HTS에서 이미 공식에 따라 지표를 보여주기 때문에, 나오는 지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를 알아두기만 하면 됩니다. 다시 강조하면 RSI가 상승하면 매수세가 강해지고 있다는 의미이고, RSI가 하락하면 매도세가 강해지고 있다는 기본을 이해하면 됩니다.
ⓑ RSI 지표 활용 시 꼭 알아야 하는 3가지
숫자 3가지 기억하기 : 70, 50, 30
RSI 활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숫자는 70, 50, 30입니다.
보통 70을 넘으면 과매수 구간, 30 이하로 떨어지면 과매도 구간으로 분류하여 이때가 매도 / 매수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50은 중간 선으로 RSI 방향을 결정하고 판단하는데 기준점이 됩니다.
ⓒ 투자를 위한 RSI 지표 활용법
RSI가 보조지표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지표가 매우 직관적이고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지표들에 비해 이해하기 쉬운 편입니다.
1. RSI가 70% 이상이면, 매수세가 상당히 강해서 초과매수 국면에 들어갑니다.
2. RSI가 30% 이하이면, 매도세가 상당히 강해서 초과매도 국면에 들어갑니다.
3. RSI 50%를 기준으로, 50 이상이면 매수세가 강한 것을 의미합니다.
(50% 이하는 매도세가 강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 1 : QQQ]
아래의 차트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의 10년 주가 흐름입니다. ( 2012 ~ 2022년 )
빨간색 부분이 RSI 지표이며, 초록색 선은 RSI 70 부근, 빨간색 선은 RSI 30 부근을 의미합니다.
사진을 좀 더 확대해서 보겠습니다. 초록색 원 부분으로 RSI 70 부근일 때를 표시했습니다.
주가를 따라가면 단기적으로 고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단기적으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며 과열된 상태입니다. 무리하게 매매하기보다는 멀리서 추세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빨간색 원 부분으로 RSI 30 부근일 때를 표시했습니다. 주가를 따라가면 단기적으로 저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단기적으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하며 하락한 상태입니다. 관심을 가지고 분할매수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이런 식으로 보조지표 중 하나인 RSI 지표를 활용하면 주가의 저점 매수가 가능할 것입니다.
(적어도 머리 꼭대기에서 사지는 않게 될 것입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봤을 때 무릎 정도에 매수를 하더라도 꽤 괜찮은 매수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예시 2 : TSLA]
다음 그래프는 테슬라(TSLA)의 최근 5년 주가 흐름입니다. (2017 ~ 2022년) 현재 저는 테슬라의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주가가 하락세를 맞이하며 힘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실제로 매수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노란색 화살표가 있는 부분에서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저는 한동안은 매도를 하지 않고 꾸준히 들고 갈 예정이기 때문에 RSI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구간일 경우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주가가 단기적으로 저점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계속해서 우하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RSI 지표를 포함한 차트분석은 모두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에 100% 확률로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겠습니다.
보조지표는 과거의 통계를 활용하여 앞으로의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는 방법입니다. 100%의 확신을 주는 것이 아니며, 꼭 거래하기 전에 전체적인 시장 흐름과 추세를 고려한 후 매매하는 전략이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Ⅱ. RSI를 활용한 매매 POINT
시장 전체가 하락 국면일 경우, RSI 지표는 매매의 보조역할은 하겠으나, 단기적으로 우하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해석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활용할 뿐입니다.
→ 투자에 정답은 없으며 단순히 보조의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RSI 지표를 보는 것보다는 추이를 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70%가 넘어가면 분할매도, 30% 이하로 떨어지면 분할매수 "
70이 넘어가는 구간에서 상승 모멘트가 더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한 투자를 원한다면 이 구간에서는 매수는 가급적 자제하고 보유하고 있는 물량을 조금씩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30 이하로 RSI 지표가 떨어질 경우 과매도 구간으로 인식하고 분할 매수를 합니다. 30에 도달하더라도 더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섣부른 예측으로 과하게 접근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70과 30을 기준점으로 잡는 이유는 계속해서 오르는 주식도 계속해서 떨어지는 주식도 없기 때문입니다. RSI가 70 이상으로 올라왔다는 것은 앞으로 오를 확률보다 떨어질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이고, 반대로 30 이하로 떨어진다면 슬슬 바닥에 도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상승 추세가 강하여 70을 넘어 80 ~ 100 구간의 과매도 구간에 들어와도 계속 상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이때 무리하게 추격매수를 하기보다는, 잠시 관망하는 태도로 시장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하지만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
위에서 설명한 대로라면, 표시된 구간은 충분히 진입을 고려해볼 만한 구간입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주가는 크게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RSI 지표를 포함한 차트분석은 모두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에 100% 확률로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겠습니다.
보조지표는 과거의 통계를 활용하여 앞으로의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는 방법입니다.
100%의 확신을 주는 것이 아니며, 꼭 거래하기 전에 전체적인 시장 흐름과 추세를 고려한 후 매매하는 전략이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모두의 성공투자 기원합니다.
이상 RSI 지표를 활용한 주식 매매 방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