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장/투자 기록

[23년 2월 계좌현황] 연 배당금 70만원 달성(SCHD, JEPI, SOXL, TQQQ)

친절한꼬북c 2023. 2. 25. 12:5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배당성장주 투자를 통해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친절한꼬북c입니다. 
 

지난달과는 다르게 연일 주식시장이 하락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글을 작성하는 지금은 23년 2월 25일 토요일입니다.
 
지난번 계좌현황 이후, 벌써 1달이 지났고, 2월 계좌현황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우선, 1차 목표였던 연배당금 60만 원을 달성했습니다. 

저는 크게 세 가지 계좌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배당주 계좌
2. 기술주 계좌
3. 개인연금 계좌


▣ 계좌 현황(23년 2월 24일 기준)

 

1. 배당주 계좌

시가 배당률 5.47%로 연배당금 68만 원(세금 미포함)을 달성했습니다.

23년 2월 24일 기준, 배당주 포트폴리오

 
SCHD, JEPI, O(리얼티인컴)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으며, ISA계좌로 국내주식인 맥쿼리인프라, 삼성전자우에 일부 투자하고 있습니다.
 
22년 6월부터 적립식으로 매수를 진행해 왔고, SCHD : JEPI : O = 5 : 3 : 2 정도의 비율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2. 기술주 계좌

1월에 주요 기술주들이 좋은 흐름을 보여주며, 상승했습니다.
 
반면에 2월 말인 현재 다시 조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익률이 거의 0%으로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꾸준히 적립식으로 모아가보려고 합니다.
 

23년 2월 24일 기준, 기술주 현황

기술주 계좌에서는 반도체 3배 레버리지 상품인 SOXL, 나스닥 100을 3배로 추종하는 TQQQ를 메인으로 담아가려고 합니다. 
 
최근 NVDA(엔비디아)의 상승으로 전반적인 반도체 섹터가 상승하는 듯했으나, 다시 조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모으고 있습니다. 
 
TSLA의 경우에는 과거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했으나, 개인적으로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은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하여, TQQQ에 투자하기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SOXL의 비중이 높으나, TQQQ에 좀 더 힘을 실을 생각입니다. 목표 비중은 TQQQ : SOXL = 2 : 1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단기간에 SOXL의 비중을 줄일 계획은 없습니다.
 
TQQQ, SOXL 매수 주문량을 1 : 1로 가져가면서 자연스럽게 자산 비중이 맞춰지도록 매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는 만큼, 제가 감당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범위인 20%의 비중 아래에서만 보유할 예정입니다. 
 
 

3. 개인연금 계좌

배당주, 기술주 이외에 개인적으로 노후 준비를 위해 개인연금 계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2년 2월부터 운영한 계좌입니다.
 
미국, 중국에 투자하고 있으며, ETF 종목으로는 크게 4개로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SOL 미국 S&P500 (433330)
2. ACE 미국나스닥 100 (367380)
3.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371460)
4.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446720)

신한자산운용의 SOL ETF의 경우 월배당 상품으로 매월 일정한 현금흐름이 확보된다는 것에 이점이 있다고 생각하여, 투자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3년 올해부터 매년 600만 원까지 공제가 된다고 하여 매월 50만 원씩 입금하고 있습니다.
 
 

4. 전 계좌 현황(개인연금 제외)

배당주 + 기술주 계좌를 합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시가 배당률은 2.94%로 연배당금은 72만 원(세금 미포함)을 기록했습니다.

 

▣ 향후 목표(연배당금 120만 원)

 
22년 6월 배당주 투자를 시작한 이후, 1차 목표인 연배당금 60만 원을 달성하기까지 8개월이 걸렸습니다. 
 

2차 목표는 현재 배당금의 2배인 120만 원(월환산 10만 원)을 목표로 모아가려고 합니다. 

 
배당성장주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그날까지,, 꾸준히 모아가보려고 합니다.
 
이상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