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만들기 프로젝트/주식 공부

TMF 미국 장기채 투자 <채권투자 이야기, 신년기 지음>

친절한꼬북c 2023. 8. 6. 14:28
728x90
반응형

채권투자 이야기(신년기 지음)

 
경기 침체 시 채권 투자가 권장된다. 채권 공부를 위해 관심이 가서 읽어보았다.
 

채권이란, 이다.

 

채권의 가격은, 금리로 표시된다.

 

금리는, 다음으로 표현할 수 있다.

① 안전자산 금리 + 크레디트 스프레드 (위험보상정도)

    ※ 안전 자산의 대표적인 예, 미국 국채
    ※ 위험 보상정도에 따라 명목금리는 크게 변동할 수 있다.
 

② 실질금리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의 변동으로 채권금리는 결정된다.
 


한편, 미 연준의 목표는

① 고용 극대화

    미국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조업 중심의 한국과 다르게 경기 침체 시 실업률이 크게 증가한다.
 

② 2%대의 장기 인플레이션 유지

 

③ GDP 성장


인플레와 금리 관계

 
23년 8월 기준 미국 기준금리는 5.5%를 달성했다.
 


코로나19 당시 양적완화로 인해 시중에 돈이 풀렸고, 화폐가치가 하락하며 물가와 자산가치가 상승했다.
 
안정적으로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 
 
기준금리 상승 시, 금융자산 가격은 하락하고 민간 소비지출은 감소한다.
 
소비가 줄어들고 공급 균형이 맞춰지면 다시 인플레이션은 잡히게 된다.
 
물가 안정이 되면 기준금리는 다시 낮아지게 된다. 
 


채권투자, 앞으로의 방향

 
일반적으로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비례한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


채권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동에 의한 가격변동이 크다.

→ 금리 변동이 확실시 되는 시점에 장기 국채에 투자한다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금리 변동 시점

일반적으로 금리 고점에서 8~9개월 유지 후 금리 하락이 시작되었다.
 
8월 기준 8~9개월 이후는 24년 3월 이후이다.
 

장기채 매수

24년 3월까지 미국 장기채 가격은 횡보할 것이며, 이때 수량을 늘린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24년까지 가격이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아래 기준을 가지고 매수할 예정이다.
 

6달러 - 보유현금 10% 추가 매수
5.8달러 - 보유현금 10% 추가 매수
5.6 달러 - 보유현금 20% 추가 매수
5.5 달러 이하 - 보유현금 40% 추가 매수

 


 

장기채 매도

① 금리하락 시작 후 장기채 가격이 상승하고,
② 금리저점 도달 직후 장기채 가격이 한번 더 크게 상승한다.
 

→ ①번에서 30% 분할 매도, ②번에서 전량 매도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침체 시작 시,
채권가격은 상승하지만, 주식 가격은 하락했다.

채권 매도 후, 주식 매수로 리밸런싱 예정이다.



출처
: <20년차 신 부장의 채권투자 이야기> (신년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