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금리 발표가 다가오고 있다.
이번에는 금리가 인상될까, 유지될까..
금리가 다시 인상된다면, 5.75%로 채권가격은 하락할 것이고,
금리가 5.5%를 유지한다면, 앞으로 채권가격은 어떻게 될까 생각해 봤다.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 백데이터를 확인해 봤다. (글자 색에 맞게 표현)
1. 미국 기준금리
2. 미국 단기 채권 SHY 1-3Y
3. 미국 장기 채권 TLT 20Y+
4. S&P500 시장 지수
데이터 비율을 맞추어 하나의 차트에 표현했다.

1. 금리 저점

① : 2012년 ~ 2015년
금리 - 0.25% 유지
장기채 - 횡보
주식 - 상승
② : 2020년 ~ 2021년
금리 - 0.25% 유지
장기채 - 하락
주식 - 상승
2. 금리 인상

① : 2015년 ~ 2018년
금리 : 0.25% → 2.5% 까지 상승
장기채 : 횡보
주식 : 상승
② : 2021년 ~ 2023년
금리 : 0.25 → 5.5% 까지 상승
장기채 : 하락
주식 : 상승
3. 금리 고점

① : 2018년
금리 : 2.5% 유지
장기채 : 상승
주식 : 상승
② : 2023년 ~ ?
금리 : 5.5% 유지?
장기채 : 상승?
주식 : 상승?
4. 금리 하락

① : 2019년
금리 : 2.5% → 0.25% 까지 하락
장기채 : 상승
주식 : 하락
② : 2024년?
금리 : 5.5% → 0%대?
장기채 : 상승?
주식 : 하락?
결론
앞으로 금리가 5.5%에서 더 오를 수도 있겠다.
① 오른다면, 채권가격 추가 하락 가능
금리하락 시기는 빨라질 것
② 유지된다면, 채권 가격 횡보, 주식 상승
금리하락 시기는 더 길어질 수도
결국 기준금리 5.75%가 최고 금리라고 생각하고
오르던, 유지하던 채권가격은 금리 인하 전까지 횡보/하락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금리 하락 예상시점인 24년 3월까지 분할로 장기채 매수 진행하고,
금리 하락 시 30% 일부 매도
금리 바닥 형성 시 전량 매도 하겠다.
'10억 만들기 프로젝트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규칙 - 신민철 작가 (1) | 2024.02.24 |
---|---|
주식 양도세 22%, 절세하고 계시나요? (0) | 2023.12.26 |
TMF 미국 장기채 투자 <채권투자 이야기, 신년기 지음> (0) | 2023.08.06 |
인생을 레버리지 하라 <레버리지> (0) | 2023.08.06 |
예금자보호제도, 얼마까지 보장되나요? (0) | 2023.03.15 |